• 최동선2025.07.21 16:17

    답변 감사합니다 교수님.

  • 조형준2025.07.21 17:18

    합계에 현열부하 합계라고 되어서 혼돈이 좀 있는 것 같은데 그럼 잠열은 구하고 합계만 현열 합계로 구하면 되는거였던건가요?

  • 이병수2025.07.21 19:20

    합계가 현열부하 합계를 도출하는것이라는 것으로 보았네요 확인이 필요합니다.

  • 이강욱2025.07.21 21:09

    답안표 맨 좌측 큰 테두리에 현열이라고만 나와있었어요. 따라서 순수 현열부하만 구하는게 맞는듯요.

  • 김영래2025.07.22 06:53

    확실히 기억합니다 그림상 현열 부분 저렇케 짧지 않고 끝까지 처리 되었어요 선처리가 그리고 인체 잠열 도 있긴 있었어요 인체 잠열은 혼란을 주기 위한 것으로 추정 됩니다

  • 최동선2025.07.22 09:17

    제가 잘못 봤을수도 있겠네요..여러명의 수험자께서 현열만 구하는 거였다고 말씀들을 하시니...냉방부하에서 잠열을 무시한다는게 솔직히 납득이 가질 않습니다...난방도 아니고..냉방부하는 엔탈피차에 의해 잠열부하가 상당히 큰데..

  • 한기현2025.07.22 10:11

    제 기억도 현열만 구는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잠열까지 구했다고 해서 많이 감점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부하합계 7칸중 4칸은 확실 + 나머지 3칸에서 부분점수로 반정도 예상하면 78% 득점입니다. 희망을 가지셔도 됩니다.

  • 이강욱2025.07.22 10:15

    잠열을 보기로 주고서 현열만 적으라고 한 이유가 일부러 함정을 준 것인지, 아니면 출제자의 실수로 그렇게 된 것인지에 따라 채점 배점이 달라질 것 같은데요

  • 김대진2025.07.22 12:36

    빈칸 채우는 것도 부분점수가 있는 건가요?? 그랬으면 좋겠네요...

  • 이강욱2025.07.22 13:49

    빈칸도 부분점수가 별도로 주어진다고는 들었던 것 같은데, 정확한 기준은 공단만이 알고 있는 사항이라 모르겠네요

  •  
  • 1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