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냉각코일 부하
김*호2022.05.01답변완료

[교재960.페이지.2021년 4회 기출문제] 

"열평형식" 질의 /답변 감사합니다. 

냉각감습과 관련된 유사한 문제인 것 같습니다만....

질문

[문제4] 6) 냉각코일 부하(W)를 구할 때에

1) "전열부하" 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현열부하" (54000kj/h=15000w)를 사용하는지요?

 2) 현열부하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면, 잠열부하(5000w)는 어디에 사용되었는 지요?

답변조성안2022.05.01 12:34

네....

6) 냉각코일 부하(W)를 구할 때에

1) "전열부하" 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현열부하" (54000kj/h=15000w)를 사용하는지요?

답)  6)전열부하를 엔탈피차(59-37)를 이용했는데... 

     << 현열부하를 이용했다는 질문은 송풍량 구할때 왜 전열부하가 아니고..현열부하로 구했는지 ??>> 질문이지요?

  좋은 질문인데요...여기서 송풍량은 2가지 방법이 있다고 했지요...열평형식에서  <<현열과 온도차>><<전열과 엔탈피차>> 이 2가지 방법으로 게산하면 송풍량은 같아 집니다..

냉각코일부하는 코일을 통과하는 공기량은 현열부하로 게산하든,,전열 부하로 계산하든 모두 맞고요...냉각열량은 엔탈피차를 적용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공기량은 온도차를 이용합니다..

<<질문내용으로 볼때...너무 깊게 생각하시는거 아난가 싶어요..ㅎㅎ

실기 공부할때..너무 깊게 생각하면..머리가 복잡해져서 하얀할때가 있어요...저도 가끔 그럽니다..ㅎㅎ 조금은 단순하게 공부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