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기타문의] 잠열관련 계산시 2501
조*환2023.10.06답변완료

잠열관련 계산 적용시

"2501" 은 

언제사용되는지 원칙?

또는 절대습도 적용계산시 사용안하는 경우 ?

 

급하게 문의드려봅니다 ^^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조성안2023.10.06 16:50

네.....

1) 절대습도는 공기중 수분량입니다...

    그러므로 가습량을 구할때는 그냥..절대습도만 곱하지요... 

2) 이 수분량을 열량으로 환산할때 잠열이라합니다..

    그러므로 공가중 잠열을 계산할때는 수분량곱하기 2501을 하지요..

여기서 2501은 0도에서 증발잠열입니다..즉 0도에서 수분

1KG이 공기중에 증발하여 수증기가 되려면 2501kJ/kg 

만큼 열량이 필요하지요..

참고로 100도시에서는 2257kJ/kg이 필요합니다..

온도가 낮을수록 잠열은 커집니다...

결론은 수분량은 그냥 절대습도고요...

열량으로 환산할때는 2501을 곱합니다..

 즉 수분 1kg을 0 도에서 증발시키는데 2501 이 필요하고..

이 열량이 공기중에 포함된다는 의미지요..

절대습도가 0.001kg/kg 이라면  약..2501*0.001=2.5kJ

이 잠열이 공기중에 있습니다..

즐공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