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부하계산시 공기밀도(1.2) 적용 구분
오*광 2024.04.28답변완료

건축설비기사 실기(조성안 편저) 제1편 제2장 난방프로세스 p67. 예상문제  8번의 6) 냉각코일부하 계산시에는 공기밀도(1,21)가 적용되지 않았는데, p71. 예상문제 10번의 4)가열코일부하계산시(온도차,엔탈피)에는 공기밀도(1.2) 적용되었어요. 공기밀도 적용 구분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답변조성안2024.04.29 08:12

네...

이제 실기공부를 시작하시나 봅니다..

1) 제1편 제2장 난방프로세스 p67. 예상문제  8번의 6) 냉각코일부하 계산시에는 공기밀도(1,21)가 적용되지 않았는데, p71. 예상문제 10번의 4)가열코일부하계산시(온도차,엔탈피)에는 공기밀도(1.2) 적용되었어요. 공기밀도 적용 구분을 어떻게 해야??

--> 공기밀도는 말그대로 공기1m3당  1.2kg이라는 소리지요..

그러므로...공기량을 m3로 주면..kg으로 환산할때 곱합니다..

1) 공기량을 m3으로 주고 비열(kJ/kg K)과 곱할때는 비열 단위가 kg당이므로....공기량을  kg으로 환산하기위해 1.2를 곱합니다..

2) 공기량을 m3으로 주고 비열(kJ/m3 K)과 곱할때는 이때는 비열 단위가 m3당이므로....공기량을 m3으로 그냥 곱합니다..

3) 공기량을 kg으로 주고 비열(kJ/kg K)과 곱할때는 비열 단위가 kg당이므로....공기량  kg으로 그대로 곱합니다..

이렇게...공기량 단위가 무엇이냐에 따라..밀도 1.2를 곱하기도 하고 안곱하기도 합니다..

몇문제 풀어보면..익숙해질겁니다..즐공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