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냉각 코일에서 제거되는 외기 부하(kw)를 구하시오.
냉각 코일에서 제거되는 외기부하가 개념이 이해가 안갑니다.
실내송풍량을 구할때 실내현열량만으로 구하는 이유가
냉각코일 통과시 잠열이 제거되기 때문이라고 배웠는데
이번 문제에서의 냉각코일에서 외기부하가 제거된다는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풀이를 보면 예냉코일을 통과한 외기량의 엔탈피와와 실내엔탈피(환기)차로
값을 구하였는데, 이는 냉각코일 입구에서 이미 제거된 외기부하인데
냉각코일과 무슨 상관관계가 있는 것인가요?
1) 냉각 코일에서 제거되는 외기 부하(kw)를 구하시오.
냉각 코일에서 제거되는 외기부하가 개념이 이해가 안갑니다.
실내송풍량을 구할때 실내현열량만으로 구하는 이유가
냉각코일 통과시 잠열이 제거되기 때문이라고 배웠는데
이번 문제에서의 냉각코일에서 외기부하가 제거된다는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 실내송풍량을 구할때 실내현열량만으로 구하는 이유는
실내에서 제거되는 현열과 온도차(현열)가 서로 평형이라서 구하는거구요..
2) 풀이를 보면 예냉코일을 통과한 외기량의 엔탈피와와 실내엔탈피(환기)차로 값을 구하였는데, 이는 냉각코일 입구에서 이미 제거된 외기부하인데 냉각코일과 무슨 상관관계가 있는 것인가요?
==> 예냉코일을 통과한 외기가 실내공기와 같은 상태라면 외기부하는 없겟지요..그런데 예냉코일을 통과한 상태가 아직도 실내공기 보다는 엔탈피가 크기 때문에 외기부하가 있습니다..
그래서 예냉코일을 통과한 <공기상태>와 <실내공기 엔탈치> 차가 외기부하가 됩니다..
예냉코일이 있을때는 외기부하가 전체외기부하, 예냉코일제거 외기부하, 냉각코일 외기부하가 서로 의미가 다르므로 조심해야합니다..
이때 << 전체외기부하= 예냉코일제거 외기부하+ 냉각코일 외기부하>> 가 성립합니다..
즐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