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건축설비산업기사 실기
p. 638(7), 779(3), 798(4), 924(10) 동일문제
- 층고 : 3.3m, 천장고 : 2.6m
- 내벽부하의 기준은 층고로 한다.
p. 954(10) 에서는 틈새바람량은 천정고를 적용한다.
또는 유사문제에서는 층고와 천정고를 동일높이로 제시
문의 : 난방부하계산서 및 강의에서 틈새부하 중 극간풍 체적(v) 산출시 높이는 천장고 2.6m를 적용하여 계산한다고 설명.
특별히 극간풍 적용기준을 제시하지 아니한 경우는 천장고를 적용하여 산출하는 이유가 혹시 있을까요?
네...
환기량은 실내체적에 비례합니다..
이때 실내 체적이란 천정고를 말하지요..천정속까지 환기 되기는 어렵잔아요..
다만..천정고와 층고를 같다고 보기도 합니다..그럴때는 층고를 대입하구요..모두 줄때는 당연히 천정고 입니다..
즐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