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해당 문제의 경우 화장실 평면도라는 부분으로 봤을 때, 수직관은 보이지않고, 수평지관과 수평주관만 있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제가 아는 순서는 기구배수관 -> 배수수평지관 -> 배수수직관 -> 배수수평주관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해당 문제의 경우 a, b, c, d 각 부분들은 배수수평지관. 그리고 이것들이 모여 쭉 이어지는 부분이 배수수평주관으로 이해를 해야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해당 문제의 경우 실제 시험에서 37번, 39번이 동시에 출제되어 이렇게 문제가 나온 것인지. 편의상 37번을 참고하라고 해주신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네...맞습니다...
화장실 도면은 수평배관을 기준으로 작도하면 됩니다..
수직관(입상관)은 PD(파이프샤프트)에서 표기되기때문에 실제 평면도에는 그냥 동그라미로 표기됩니다(입상관 표기는 PD가 있을경우이고 Pd가 없을때는 입상관은 표기되지 않습니다)
즐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