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들이 대체적으로 짧아 하나의 질문으로 드립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 선생님.
1. p118 3번 문제에서 4) 재열코일부하를 엔탈피가 아닌 온도차로 구할 때도 안전율 1.1을 곱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책에는 누락되어 있는 것 같아서요.
2. p119 4번 문제의 경우, 감습과 가습과정을 자세히 기술하라고 되어있는데 이 부분을 설명 시, 냉각기의 경우 온도와 습도를 일반적으로 제어하기에 온도는 하락하고, 습도는 감소한다.
증기가습의 경우, 열수분비 2723kj/kg으로 오른쪽 대각선 방향으로 가습된다.
이 정도로만 작성해도 충분한 지 궁금합니다.
3. p120 5번 문제에 나와있는 것처럼 장치노점온도(ADP)는 '실내장치 노점온도'와 '코일장치 노점온도'로 나뉠 수 있으며, '코일장치 노점온도'는 '냉각코일 표면온도'와 같은 의미이고, 문제에 따라 예냉코일에서 냉각되는 것과 냉각코일에서 냉각되는 것 모두를 의미하기에 상황에 맞게 접근하면 될 지 궁금합니다.
4. p131 10번 문제에서 3) 송풍량을 구할 때는, (5)점에서의 비체적을 읽는 방법 말고 일반적인 공기의 밀도 1.2를 적용해서 푸는 것은 안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1. 당연히 1.1을곱합니다..식. 맨뒤에. 1.1이있어요. . .
2. 네...이런문제는. 채점자. 주관에 따라 점수가 달라지겟지요..
하지만..교재 내용을 기준으로 어느정도만..가까이설명한다면 점수를 줄겁니다..
요즘은 이런 문제는. 초점이 어려워서 잘 출제하지 않는편입니다..
.3 네.맞습니다..여기서는 예냉코일은 없지만..있다면..같은 원리입니다..
4. 네. .이런경우. 조건에서 줍니다..선도에서 비체적을 이용하라 든가..아님..그냥 비체적을 줄거여요
0.83정도 주겟지요..선도에서 찾는 방법만 알아두세요..
즐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