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에서 p290 예제2번 풀이를 보면
------------------------------------------------------------
H = (500X4) X 0.075m³ X 1/7(80-10)
= 1500m³/h = 1,500,000kg/h
급탕부하 = 1,500,000kg/h X 1.163W = 1,744,500W
------------------------------------------------------------
라고 되어있습니다. m³/h라는 단위가 나온것도 이해가 안되고..
급탕부하 계산에서 아무리 생각해도 kg/h가 아니라 kcal/h 인거같아서..
1kcal/h=1.163W 이라는 조건이 어떻게 쓰여진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이 문제는 공학단위로 출제되던 2008년 문제입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SI단위로 풀어본다면 이렇게 풀 수 있겠습니다.
해설 내용 다음과 같이 정리합니다.
1일 급탕량=500×4×0.075=150㎥/d
시간최대급탕량=1일 급탕량×가열능력비율
=150×1/7=21.429㎥/h=21429kg/h→5.95kg/s
∴ 급탕부하=mc△t=5.95×4.19×(80-10)=1,745kJ/s=1,745,000J/s=1,745,000W
물의 비열 : 공학단위 1kcal/kg℃ SI단위 4.19kJ/kgK
보람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