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2회(1번)에서는
필터효율 90%이므로 취출분진농도
Cq=Q×(1-0.9) 에서 Q를 구할시,
바로, 필터 혼합비율의 값을 대입 - 배기:외기 재순환율 50%에서
실내0.15×50% +외기0.1×50% (분모1)에서 얻은값 0.125를
Cq=Q×(1-0.9) Cq=0.125×(1-0.9)를 한다고 교제 풀이 되있습니다
여기서 얻어진 값 0.0125를
■ 물질 평형식에 대입:
300명×10=Q×(실내0.15-0.0125) 구하고자하는 실내급기량 Q는 21,818제곱3/h
~~~~~~~~~~~~~~~
그런데,
■ 20년2회(1번)에서는
필터효율 90%이므로 취출분진농도
Cq=Q×(1-0.9) 에서 Q를구할시,
Q=실내분진0.15×(1-0.9)에서 값인 0.015를 갖고
필터로 유입될 혼합공기(m)분진농도 외기량25% : 급기량75% 의 혼합농도
0.75×실내허용농도0.015 +0.25×외기농도0.2로 해서 얻어진 값 0.061을
■ 물질 평형식에 대입:
200명×12=Q×(실내0.15-0.061)
Q구하고자하는 실내급기량라해서 급기량을 구한다 했는데
~~~~~~~~~~~~~~~
<문의드립니다>
필터 출구 분진 농도m 을 구할시 Q×(1-0.9효율)에서의,
Q값 구하는 것이 왜 두 문제 풀이에서는 다른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