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안녕하세요
이전 아래 그림과 같이 외기부하에 관련하여 질의 드린적이 있습니다
풀이과정에서 제 이해에 따르면 외기부하를 구하는 것이 옳은 것으로 계속하여 생각이 듭니다
현재는 문제를 외워버리는 지경이되어 정답안 풀이와 같이 풀어 답은 맞추고 있지만
냉각코일부하는 실내부하+외기 부하이므로 공조기 부하 산출 시에 구해야하며 이는 곧 내주부 부하로 외주부 부하와 합산하여 냉동기 용량을 구해야한다는 생각이 계속 들고 있어 답을 쓰는 손과 머리가 따로 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먼저, 문제에는 혼합에 관해 유추할 정보(외기량, 외기비율, 혼합점 등)가 없기에 혼합은 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혼합을 하지 않고 외기가 100% 도입되어 냉각코일을 거치고 송풍되어 실내로 들어온 뒤 100% 배기되는 계통으로 이해하였습니다
실무진행 중, 주방쪽 계통을 본적이 있습니다
온도조건은 아래문제와 상이한면이 있겠지만 도면에서 외기조화기로 혼합없이 급기만하고 배기는 시로코팬에 의해 국소적 배기가 되는 것을 보고 이 문제가 다시금 떠올라 부하계산서 상의 선도 표현까지 확인해보았습니다
(또한 이 문제가 중간기 등에 실시하는 바이패스 방식을 이용한 외기냉방이 아니라는 것도 인지를 하고 있습니다)
외기부하는 혼합과정 유무 및 비율과 관계하여 변동되긴 하지만 결과론적으로는 모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 풀이에서 혼합과정이 없다면 송풍량과 외기량은 같은 값을 갖게된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습공기선도로 간략히 표현해 보면 저의 이해로는 파랑색 선과 같은 선도가 도출됩니다
이런경우 냉각과정에서 혼합없이 외기가 들어오는 과정에서의 부하계산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이 냉각 코일 부하가 될 것이고 이 안에 실내의 내주부 부하와 외기부하가 포함될것 입니다
문제에서는 전열에 의한 내주부 부하가 제시되었습니다
외기 부하를 합산하여 냉각탑용량(냉동기 용량*1.3)을 구하기 위하여 엔탈피차 △h=86-41을 이용해 아래와 같이 하여야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86-41)*1.2*송풍량/3600 과 외주부용량을 합산 반영
이것이 냉동기~헤더 분기 AHU냉각코일(내주부) and FCU(외주부) 용량이 되겠구요
어떤 이유가 있을까 이해해보기 위해 고민을 해보다 보니
OHU~ZHU~FTU나 터미널, 유인유닛을 이용한 실내 예냉 차원에서 이해를 하여야하는가라는 고민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까지 생각한 것은 옳지 않은 것 같습니다
교수님의 이전 답변 주신것에 대하여는 모두 이해하고 있습니다
'조건대로'라는 말이 있어 문제에서 주어진 것만을 이용하라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러나 문제에는 외기조건이 주어져있습니다. 제가 이점에서 혼란을 겪는 것인가 싶기도 합니다
도와주세요 교수님 꼭 이해하고 싶습니다
혹시 간략히 습공기선도로 도식화해주신다면 이해가 더 빠를 것 같기도 합니다
교수님 잘 이해를 해보고 싶어, 오랜 기간 고민하다가 긴글의 질문을 드리게되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ps:다른 사항은 문제는 이해에 따라 잘 풀이가되며 6-3번만 외기부하로 인하여 문제가 되고 있고 1.3을 곱하는 사항도 이해하고있습니다
이와 유사한 문제 또한 모두 잘 풀이되고 있으나 이문제만 유독 잘 이해가 되지 않는듯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