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문제에서 길이를 산정하는 데 질문이 있습니다.
복원문제에는 350이라고만 되어 있어 단위가 없고 이를 350mm로 해석했는데 350cm로 해석해야되는 것 아닌가요?
전문가는 아니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하기에 35cm 마다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한다는 것은 온 천장을 헤드로 가득 채우는 결과가 되는데 이는 오히려 먼저 헤드가 옆헤드의 감열체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되지 않을까요? 물론 이 시험이 소방기사 시험은 아니지만 뭔가 부자연스러운 것 같습니다.
물론 시험에 단위가 주어지지 않았다하면 그만이지만...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3)을 보면
제10조(헤드) ③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천장ㆍ반자ㆍ천장과 반자 사이ㆍ덕트ㆍ선반 등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스프링클러헤드까지의 수평거리는 다음 각 호와 같이 해야 한다. 다만, 성능이 별도로 인정된 스프링클러헤드를 수리계산에 따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1. 무대부ㆍ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의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1.7미터 이하
2. 삭제
3. 삭제
4. 제1호부터 제3호까지 규정 외의 특정소방대상물에 있어서는 2.1미터 이하(내화구조로 된 경우에는 2.3미터 이하)
⑦ 스프링클러헤드는 다음 각 호의 방법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
1. 스프링클러헤드는 살수 및 감열에 장애가 없도록 설치할 것
5. 상부에 설치된 헤드의 방출수에 따라 감열부가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헤드에는 방출수를 차단할 수 있는 유효한 차폐판을 설치할 것
그리고 경남소방본부 홈페이지에서 받아온 자료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