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외기부하는 외기량(외기h-실내h)로 구하지요..
그런데 이문제는 예냉코일이 있어서..예냉코일에서 1차로 외기부하를 제거하고..냉각코일에서 다시 외기부하를 제거합니다..
그러므로 예냉코일을 통과한 (3)상태가 외기가 되는 겁니다..
1) 전체 외기부하는 외기량(외기h2-실내h1) 이고요..
2) 예냉코일에서는 부하전체가 외기부하로 보아야하고요 외기량(외기h2-h3)이 되겟지요..
3) 냉각코일에서 외기부하는 외기량(h3-h1)이 되겟지요..
즐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