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이렇게 질문 올리는 시간도 잘 아껴서 공부해 보세요..질문하기전에 한번더 스스로 고민하고 생각해보는 것이 더 공부에 도움이 될겁니다..
1. 해당 문제에서 B, D점의 수두압인 경우 해당 점에서 받는 높이 만큼인 정수두 - 구간 별 마찰손실 값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여기서, 제가 궁금한 점은 전양정 = 실양정 + 마찰손실수두 + 기기손실수두로 알고 있는데, 두 식은 서로 다른 개념인 것인지, 같은 개념을 나타내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13m - OD배관마찰손실수두 로는 왜 계산하면 안되는 지도 궁금합니다.
==> D점 수두압은 정수두가 11m(13-2) 로 풀어야 합니다..
D바로 앞에서 2m 올라가니까요..
2. 1번 질문에 이어서 예로, 위생설비 용량 계산 파트 p137 1번 문제의 경우, 배관의 허용 압력강하 R을 구하라고 할 때,
마찰손실수두 H를 결국 구해야 하는 것인데, 여기서 H = 바닥~고가수조 높이 12m - 바닥~기기 높이 1m - 기기필요수두 1m로 나타냈습니다.
이를 통해, 바닥~고가수조 높이가 전양정이고, 기기필요수두와 실양정을 빼서 마찰손실수두 H를 구한 것으로 생각하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만약 맞다면, 왜 12m를 전양정으로 보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문제를 풀다보면, 고가수조의 경우 고가수조까지의 높이에서 다른 값들을 빼 답을 구하는 과정이 많아 질문이 생겼습니다.
==> 여기서는 전양정의 개념을 이용하지 않습니다..그냥 실양정(12-1=11m) 이라고 합니다..이 실양정에서 마찰손실을 뺀것이 말단 수압이고요..
3. 수도본관에서 최상단 기구까지 필요한 압력 = 최상단기구까지의 높이 + 최상단기구의 최소필요압력 + 배관 마찰손실수두
위 식은 결국 전양정 = 실양정 + 마찰손실수두 + 기기필요수두와 같은 개념인가요? 해당 개념이 고가수조 문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 고가수조에서는 실양정 = 마찰손실수두 + 말단 기기필요압력 이렇게 정리하세요...
전양정 = 실양정 + 마찰손실수두 + 기기필요수두는 펌프로 펌핑(양수)할때 적합한 식입니다..
즐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