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실기강의 OPEN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덕트선도관련 질문사항(19년 4회 기출 5번)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설비기사 실기 종합반 > 조성안
글쓴이 하*연 등록일 2021.06.19 답변상태 답변완료
  •  

    교수님

    안녕하세요

     

    풍량을 덕트선도에서 읽을때, 궁금한 점이 있어 글을 남깁니다

     

    좌측 풍량에 숫자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해독의 어려움이 없었지만,

    12000CMH, 18000CMH의 실제마찰손실과 풍속을 해석 하는 것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1) 

    10000CMH와 20000CMH 사이에 줄이 4개가 있다면 한개의 줄마다 2000CMH단위라 생각하고 해석해도 되나요?

    (12000CMH의 경우, 10000CMH와 20000CMH 사이 첫번째 줄을 12000CMH라 해석하고 실제 마찰저항과 실제풍속을 읽음) 

     

    2)

    10000CMH와 20000CMH 사이에 자로 길이를 잰 후, 균등하게 분배해서 해독을 하는것이 맞나요?

    (예를 들면 12000CMH의 경우, 10000CMH와 20000CMH사이 거리는 13mm이기 때문에, 13mm X (2/10) = 2.6mm 되는 지점에 점을찍고 실제마찰저항과 실제풍속을 읽음) 

     

    3) 그리고, 덕트경이 50mm 단위로 표기되어있지않은경우 임의로 선을그어 해독하면 되나요?

    (예를들어 700mm와 800mm 사이에 750mm지점에 대한 선이 없는경우 가운데 지점에 선을 그어 750mm라 가정한 후 풀이하면 되나요?

    제가 눈대중으로 임의로 그은 가운데 선이 답안과 상이해질까 우려됩니다 ㅜㅜ)

    ------------------------------------------------------

     

    1)과 2) 풀이 중, 풍량을 해석하는 방법에 있어 어떤방법이 맞는것인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두 방법 모두 적용해 보았는데, 값이 동일하지않고, 상이하여 질문합니당 ㅠㅠ)

    그리고 혹시 두 방법 다 틀렸다면 12000CMH와 18000CMH 풍량지점을 찍고 실제마찰저항과 풍속을 해석하는 방법에대해서 답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조성안 |(2021.06.20 10:22)

    예.,모두 맞습니다..즉

    선 한개마다 2000씩 증가하고요..그사이는 사실은 등간격은 아니지만 등간격으로 찾아도 됩니다..더그트나 배관 선도가 등간격은 아니지만..사이값은 등간격으로 보아도 전혀 문제업습니다

    지금 잘하고 계신겁니다

목록